책을 보다가 우연히 알게 된 개념인데, 이를 떠올렸을 때 따라오는 생각들이 많았습니다. 왜일까요? 이 개념은 특히나 일을 하면서 의식에 두어야할 것 같았습니다. 문제 상황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할 때, 경험적으로 혹은 직관적으로 빠르게 답이 떠오를 때가 있죠. (보통은 그렇죠) 그런데 그 답이 최선의 해결책이 아닐 수도 있지 않을까요? 항상 내리던, 자주 풀던 문제의 답을 빠르게 선택하는 건 습관처럼 느껴지기도 하고요. 뭐 이래저래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들을 정리하고 싶었습니다.
먼저 아인슈텔룽 효과란 무엇일까요?
위키백과의 정의에 따르면, 아인슈텔룽은 기계화된 정신 상태 발달을 말한다. 문제해결 세트로도 불리는 아인슈텔룽은 더 좋거나 적절한 문제 해결 방식이 존재함에도 특정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소인을 의미한다. 아인슈텔룽 효과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때 이전 경험이 주는 부정적 효과를 말한다. 아인슈텔룽 효과는 여러 상황 속에서 실험적으로 검증되어 왔다.
로는 남편 에이브러햄 루친스(Abraham S. Luchins)와 부인 에디트 루친스(Edith Hirsch Luchins)의 용어 고안으로 이어진 사례로 루친스 물병 실험(Luchins water jar experiment)이 있다. 여기에서 피실험자들은 일련의 물병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요청받는다. 같은 해결책이 있는 문제들을 해결한 후, 이후에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피실험자들은 더 단순한 해결책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똑같은 해결책을 사용한다(Luchins, 1942). 아인슈텔룽 효과에 대한 다른 실험들은 『구성 과정들에 대한 아인슈텔룽의 효과(The Effect of Einstellung on Compositional Processes)』와 『행동의 경직성, 아인슈텔룽 효과에 대한 한 변형적 접근(Rigidity of Behavior, A Variational Approach to the Effect of Einstellung)』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경험에 의하여 새로운 방식이 아닌 이전에 사용한 방식을 선택하는 걸 의미합니다. 만일 의식하지 않는다면, 지금 내리는 선택이 새로운 방식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습니다. 게다가 더 나은 방식을 선택할 시간은 갖지 않고 바로 일을 진행할 수도 있겠죠.
이 개념이 왜 자꾸 생각났을까?
사실은 조금 뜨끔했습니다. 제가 읽던 책(늦깎이 천재들의 비밀)에서는 조기 전문화의 위험성과 관련되어 이 개념이 언급되었는데요. 저에게는 다른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기획자 직무로 바꾸어 일을 해야하는 요즘은 의식하고 경계해야할 개념으로 보였어요. 사람이라면 그동안 쌍은 경험에 따라, 혹은 인식, 취향에 따라 편향적인 사고를 갖게 되는 점도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이를 어떻게 하면 덜 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찾아보고 싶었습니다.
한편으로 미생의 '장그래'가 떠올랐습니다. 배에 구멍이 난 돌발상황에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철강팀 팀원들은 비슷한 사례를 찾고 우왕좌왕하고 있는데요. 소재가 무거워서 다른 배로 옮기기도 쉽지 않고, 헬기를 띄우기도 어려웠습니다. 정신 없는 와중에 장그래는 '배에 납땜을 하는 건 어떠냐'는 의견을 냅니다. 배에 난 구멍이 생각보다 크지 않아서 큰 수고를 들이지 않고, 중간중간에 땜질을 하면서 물건을 무사히 운반할 수 있게 됩니다.
장그래는 신입 사원인데다,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에 신박한 해결책을 낼 수 있었을까요? 나사가 30년간 풀지 못하였던 문제를 2009년 이노센티브에 올리는데요.(동일한 책, 249p) 문제를 올리고 6개월이 지나기 전에 뉴햄프셔주 시골에 살고 있던 기술자인 브루스 크래진이 풀어낸 사례도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비슷한 사례가 책에 기술되어 있어요) 아인슈텔롱 효과는 전문가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볼 때 언제든 발생하기 쉬워보였습니다.
https://youtu.be/d3OY6LyZ-cg?si=K4s1nbPFgSjtXlVE&t=253
어떻게 하면 막을 수 있을까?
그렇다면 아인슈텔롱 효과는 어떻게 방지할 수 있을까요? 의식하고 있더라도 어쩔 수 없이 친근한 해결책이 떠오를 텐데 말이죠. 아인슈텔룽 효과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결방안은 간결한데요. 간단해보이지만 항상 유념해야할 개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하면서도 한번씩은 잊지 말고 꺼내봐야겠습니다.
1. 패턴을 깨기
> 그동안의 프로젝트와 했던 일은 잊기.
> 초심자의 마음을 갖기
2. 여러 가지 안을 세우기
> 떠오르기 쉬운 안은 경계하기
> 여러 경로 탐색하기
3. 동료들과 협업하기
> 초기 개념을 개별적으로 파악한 뒤에 서로 발견한 내용을 모아 아이디어를 탐색하기
> 나의 경험에 갇히지 않도록 동료들과 협업하기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9D%B8%EC%8A%88%ED%85%94%EB%A3%BD_%ED%9A%A8%EA%B3%BC
https://exaptive.com/blog/einstellung-effect-0
https://deepstash.com/idea/93437/solving-problems-minimizing-einstellung-effect
'Product Owner >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펨테크(Femtech) 개념과 해외 사례, 국내 펨테크 기업 (2) | 2024.02.14 |
---|---|
해피문데이(헤이문) 기업 정보와 서비스 (1) | 2024.02.13 |
[PM회고]우선순위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할까? (2) | 2024.01.01 |
Beeper_ message aggregation platform 통합 메시지 앱 비퍼 (2) | 2023.12.05 |
[UX] 왓챠피디아에서 발견한 UX writing (1) | 2023.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