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기사 읽기

틈 날때에 경제기사 읽기_한미 통화스와프 연장 불발, 배경은. 21.12.16.

by LYNN 2021. 12. 16.
반응형
출처 : 뉴시스

원문보기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10892672

한미 통화스와프 연장 불발…배경은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우리나라가 유사시를 대비해 미국과 체결한 통화스와프의 기간 연장이 끝내 불발 되면서 이달 말 종료를 앞두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테이퍼링(자

news.naver.com


1. 기사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나라와 미국과 체결한 통화스와프의 기간 연장이 불발되어 12월 31일에 종료 예정이다. 인플레이션으로 테이퍼링 속도를 높이기 위해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 외화자금 부족 등 금융 시장의 불안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2. 기사 내용을 구조화해본다면?
지난해 3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자 연준과 600억 달러 한도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였다. 같은 달 31일부터 6차례에 걸쳐 198억 7200만 달러의 외화대출을 받았고, 이후 외화 부문의 안정세로 지난 해 7월에 통화스와프 전액을 상환하였다.

-> 문제는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빨라진다는 점이다. 이에 한은은 국내 외환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았고, 전문가들은 긴급상황에 따른 외화유동성을 확보해야한다고 지적하였다.

3. 기사를 읽는 데 필요한 개념은 어떤 게 있을까요?
1) 통화스와프
스와프는 ‘바꾸다, 교환하다’는 의미로 필요할 때에 두 나라가 자국 통화를 상대 국가의 통화와 교환하는 방식을 통화 스와프라 한다. 계약할 때 미리 약속한 환율로 교환하게 된다. 이는 금리의 변화에 따른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외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통화 스와프를 맺고 있으면 외화가 필요할 때 보험처럼 사용할 수 있다.
2) 테이퍼링
정부가 경제 위기에 대체하기 위해 취했던 완화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전략. 일종의 출구 전략이다. 사전적 의미로 테이퍼링은 ‘점점 가늘어지다’라는 뜻이다.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금씩 양적 완화를 축소한다. 채권 매입을 줄이고, 금리를 인상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4. 기사를 읽고 생긴 질문은?
1)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연준이 기준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는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하여 같이 금리를 올려야 한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037051

더 빨라진 미 금리인상 시계…우리 경제 영향은?

미국이 돈풀기를 줄이면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이 올까요? 당장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계가 빨리질 것으로 보이고 그럼 대출받은 분들 이자부담도 커질 텐데요. 윤지혜 기자와 얘기해

biz.sbs.co.kr


5. 기사를 읽고 난 후 생각을 정리해봅시다.
국내의 문제만이 아니라 세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걸 이제야 알게 된것 같다. 연준의 금리 인상에 대해 파동이 생기듯 퍼지는 걸 보니 말이다.

(출처 : 경세기사를 읽으면 주식투자가 쉬워집니다.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참고
1. 통화스와프란? 통화스와프 장점은? : 알아보자! 경제이슈
https://www.finda.co.kr/post/allnew/10956

통화스와프란? 통화스와프 장점은? : 알아보자! 경제이슈 - 핀다 포스트 | 금융 경제 전문 온라인

통화스와프의 계약 만기일은 2020년 10월 10일까지이며, 규모는 560억달러(64조원)로 종전과 규모와 만기가 동일하다. 통화스와프는 통화를 교환한다는 의미로 서로 다른 통화를 미리 약속한 환율

www.finda.co.kr

2. 통화스와프, 나무 위키 검색
https://namu.wiki/w/%ED%86%B5%ED%99%94%20%EC%8A%A4%EC%99%80%ED%94%84

3. 테이퍼링,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85%8C%EC%9D%B4%ED%8D%BC%EB%A7%81

테이퍼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테이퍼링(tapering)은 정부가 경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취했던 완화의 규모를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전략을 말한다. 출구 전략의 일종이다. 사전적 의

ko.wikipedia.org

반응형

댓글